
대한민국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나타내는 기준 중위소득!
기초생활 보장제도나 다양한 정부지원제도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청년들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지표예요.
오늘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새롭게 고시된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정리해 드릴게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보건복지부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인상되면서
더 많은 청년들이
정부지원제도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어요.
2025년과 내년의 기준 중위소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아요.👇🏻
📌2025-2026년 기준 중위소득

1인 가구 기준 7.20%(17만 2,225원),
4인 가구 기준 6.51%(39만 6,965원)
인상되었어요.
📢2026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표📝
📌2026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2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5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6년,
저소득층 지원 폭도
더 넓어져요💙
2026년도 복지급여 선정기준 비율은
2025년과 동일한데요.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됨에 따라
복지급여 선정기준 금액도 인상돼요.
※ 생계급여(32%), 의료급여(40%),
주거급여(48%), 교육급여(50%)
📌2026년 급여별 선정기준

1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는 820,556원
의료급여는 1,025,695원
주거급여는 1,230,834원
교육급여는 1,282,119원으로
복지급여 수급자가 더 늘어날 예정이에요.
📢나의 세전소득,
얼마일까?🤨

기준 중위소득은
세전소득을 기준으로 해요.
직장인이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세전소득을 확인할 수 있어요.
👉🏻급여명세서 확인
세금 및 4대보험 공제 전
지급총액 또는 총급여액 확인
👉🏻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료 조회
건강보험료÷건강보험료율(3.545%)=세전소득
👉🏻관련 자료 조회
국세청 홈택스에서 지급명세서
혹은 소득금액증명 발급
프리랜서, 개인사업자는
홈택스 종합소득 신고자료에서
세전소득을 확인하면 돼요.
'청년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구간, 국가근로장학금 지급일, 주거안정장학금 결과, 2학기 2차 신청기간 (0) | 2025.08.27 |
---|---|
2025 신혼부부 혜택 정리ㅣ주택청약, 전세대출, 매매대출, 지역별 지원제도 (0) | 2025.08.26 |
경기도청년노동자통장 필요한 서류와 소득기준은? 신청대상과 방법, 지원내용은? (0) | 2025.08.23 |
경기도 결혼지원금 신청방법 청년 신혼부부 지원금 100만원 혜택 결혼축하금 (0) | 2025.08.22 |
2026년 최저시급 월급 최저임금 고시 세후 실수령액 연봉은? (0) | 2025.08.21 |